재테크
📝 퇴직연금, 몇 년에 걸쳐서 받는 게 좋을까?
슬기로운공책
2025. 5. 11. 20:02
💼 퇴직연금, 몇 년에 걸쳐 받는 게 좋을까?
퇴직소득세와 연금 수령 방식까지 완벽 정리!
✅ 퇴직연금,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?
직장을 떠날 때 받는 퇴직금. 이 돈을 한 번에 받을지, 여러 해에 걸쳐 연금처럼 받을지 고민해 보셨나요?
퇴직금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:
- 일시금 수령: 퇴직 시 퇴직금을 한 번에 받음
- 연금 수령: IRP(개인형 퇴직연금)나 연금계좌에 이체해 10년 이상 나눠 받음
📊 퇴직소득세, 얼마나 낼까?
퇴직금을 받을 때는 '퇴직소득세'라는 세금을 내야 합니다. 재직기간이 길수록 공제액이 커지지만, 퇴직금이 클수록 세금 부담도 커집니다.
아래는 퇴직금과 재직기간에 따른 세금 예시입니다.
(단위: 만 원 기준, 근속기간은 1년 이상 가정, 퇴직소득세는 단순화된 예시입니다)
재직기간 | 퇴직금 총액 | 퇴직소득 공제 | 과세표준 | 예상 퇴직소득세 |
5년 | 5,000만 원 | 1,200만 원 | 3,800만 원 | 약 280만 원 |
10년 | 1억 원 | 2,400만 원 | 7,600만 원 | 약 1,150만 원 |
15년 | 1.5억 원 | 3,600만 원 | 1.14억 원 | 약 2,100만 원 |
20년 | 2억 원 | 4,800만 원 | 1.52억 원 | 약 3,200만 원 |
25년 | 2.5억 원 | 6,000만 원 | 1.9억 원 | 약 4,500만 원 |
📌 설명
- 퇴직소득 공제:
근속 1~5년까지는 연 30만 원, 6년차부터는 연 50만 원씩 추가 공제
(예: 10년 → 150만×5 + 50만×5 = 2,400만 원) - 과세표준:
(퇴직금 – 퇴직소득공제) ÷ (재직연수 ÷ 12) → 평균과세 기준
이후 누진세율 적용 (6.6%~27.5% 수준) - 퇴직소득세는 실제로는 “1년 치로 환산하여 세율 적용 후, 다시 퇴직기간만큼 안분”하는 방식이므로 일반 소득세보다는 세 부담이 낮음
💡 연금으로 받으면 얼마나 절세될까?
퇴직금을 IRP나 연금계좌로 이체한 뒤, 10년 이상 연금으로 수령하면 세금이 대폭 절감됩니다.
이 경우 적용되는 세율은 3.3~5.5%의 연금소득세로, 일시금 수령 시의 16.5% 기타소득세보다 훨씬 낮습니다.
아래는 동일한 퇴직금을 연금으로 받을 경우 세금 절감 예시입니다.
✅ 퇴직금을 연금으로 수령할 경우의 세금 절감 예시 (단위: 만 원)
퇴직금 총액 | 퇴직소득세 (일시금 수령시) |
IRP 이체 후 연금 수령 세율 |
예상 연금소득세 총액 (10년 기준) |
세금 절감액 |
5,000만 원 | 약 280만 원 | 3.3% | 약 165만 원 | 약 115만 원 |
1억 원 | 약 1,150만 원 | 3.3% | 약 330만 원 | 약 820만 원 |
1.5억 원 | 약 2,100만 원 | 3.3% | 약 495만 원 | 약 1,605만 원 |
2억 원 | 약 3,200만 원 | 3.3% | 약 660만 원 | 약 2,540만 원 |
2.5억 원 | 약 4,500만 원 | 3.3% | 약 825만 원 | 약 3,675만 원 |
📌 계산 기준
- 연금소득세율은 3.3% 적용 기준 (연령 및 수령액에 따라 5.5%까지 가능)
- 퇴직금을 연금계좌로 이체 후, 10년 이상 분할 수령할 경우 기준
- 퇴직소득세는 앞서 제공한 예시 기준값 사용
- 단순비교용 예시이며, 실제 세금은 납세자의 상황에 따라 차이 있음
📌 어떤 방식이 나에게 유리할까?
이런 분께 추천 | 수령 방식 | 이유 |
목돈이 급히 필요한 경우 | 일시금 수령 | 창업, 부채상환, 자녀 혼례 등 단기 지출 |
안정적인 노후가 필요한 경우 | 연금 수령 | 절세 효과 + 장수 리스크 대비 가능 |
✅ 결론: 퇴직금은 전략적으로 수령하자
퇴직연금은 단순한 돈이 아니라, 나의 인생 2막을 설계하는 자산입니다.
- 📉 무작정 일시금으로 받으면 세금 폭탄
- 📈 10년 이상 연금 수령하면 세금 절감 + 안정적인 노후 대비